공매도 매매
공매도 매매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갖고 있을 겁니다. 주식이 한주도 없는데 도대체 어떻게 매매를 하는가 하고 말이죠. 하지만, 이 모순적인 상황은 주식시장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오늘은 공매도 매매와 그와 관련된 여러 용어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목 차
공매도란 무엇인가
공매도란
공매도란 한자의 '빌 공(空)'자를 써, 빈 주식을 매도한다, 즉 없는 주식을 매도한다라 보면 됩니다. 혹자는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없는 주식을 어떻게 매수한다는 것인가?
어려울 수 있으니,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매도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10주를 매도하려고 한다면 실제로 10주를 갖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죠.
하지만, 공매도란 없는 상태에서 빌린 주식을 되판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필자가 공매도를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필자가 1주에 1만 원인 주식을 10주 공매도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10주를 상대방에게 먼저 빌려야 합니다. 1주에 1만 원 하는 주식이니, 10만 원을 빌린 셈이 되는 겁니다. 10만 원을 빌린 것을 다시 되파는 것이 공매도인데, 바로 이 시점이 포인트입니다. 공매도의 '매도'는 주식을 파는 행위입니다.
주식 시장의 흐름상, 파는 행위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하락장으로 이어집니다. 즉 1주에 1만 원 하는 주식 10주를 팔면 주식 시장의 흐름이 점차 하락장으로 이어진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공매도는 한 명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외국인, 기관) 한 번에 공매도를 하는데요..
이때 시장에 엄청난 양의 주식들이 매도물로 쏟아 나오다 보니, 당연히 주가의 흐름이 안 좋아질 수밖에요.. 그렇다면 이제 1주에 1만 원 하는 주식은 어떻게 될까요?
1주에 1만 원 하는 주식이 곤두박질쳐서 액면가 5천 원이 되는 것입니다. 지금부터가 정말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공매도 한 사람은 수중에 있던 10만 원으로 다시 액면가 5천 원짜리 주식 20주를 삽니다. 좀 전에는 주식을 10주 빌렸는데, 이제 본인의 수중에는 주식 20주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심지어 하락장에서는 사람들이 주식을 많이 매수(구입) 하기 때문에, 다시 해당 주식은 상승장으로 갈아타게 됩니다. 그렇게 다시 주가가 올라서 1주에 5천 원 하던 주식이 다시 1만 원이 되면, 필자는 아무 힘을 들이지 않고, 20주 즉 20만 원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빌린 10주 즉 10만 원을 갚으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수중에 한 푼도 없이 주식을 빌려서 10만 원이라는 돈을 창출하게 되는 겁니다. 설명을 하기 위해서 규모를 작게 설명하였는데, 이 주식(금액)의 크기가 100주, 1000주, 10000주로 확장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막대한 수익이 창출되는 겁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공매도는 존재하고 불법적인 행동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공매도가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1년 전 재난 사태로 인해서 주식시장의 폭락이 발생했을 때, 공매도 금지를 법으로 규정하여, 더 큰 폭락을 막았습니다. 그런데 지금(2021년)을 한번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엄청난 상승장에 상승장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현 정부는 다시 주식시장의 과열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공매도 금지를 다시 풀려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하였는지, 공매도 금지는 2021년 5월 2일로 연장하였다고 합니다. 2021년 5월 2일 공매도가 시작되면 주식 시장의 하락장이 예상되므로, 갖고 있는 주식을 미리 매도하는 것을 권장드리겠습니다.
숏커버링에 대해서
숏커버링 이란
숏커버링이란 공매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숏커버링은 매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공매도로 인해서 주식의 가치가 하락했을 때(주식시장의 하락장) 다시 주식을 사는 것입니다. 그래서 숏커버링은 주식시장의 흐름을 상승장으로 만드는 장본인입니다.
좀 전에 설명한 공매도가 주식시장의 흐름을 하락장으로 이끌었다면, 숏커버링으로 인해서 다시 주식시장의 흐름이 상승장으로 바뀌는 겁니다.
공매도 매매 정리하기
공매도 정리하기
다시 한번 공매도와 숏커버링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매도란 없는 주식을 빌려서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1주에 10만 원 하는 주식을 상대방에게 빌려서 파는 행위가 공매도입니다.
공매도하는 세력이 많이 질수록 주식시장의 흐름은 하락장으로 가게 되는 것이고, 하락장으로 가다 보면, 1주에 1만 원 하던 주식은 어느 순간 1주에 5천 원이 되어 버립니다.
이때 공매도 세력들은 미친 듯이 주식을 다시 주워 담습니다. 좀 전에는 1주에 1만 하던 주식을 10개밖에 사지 못했지만, 이제 가치가 떨어져서 10만 원이란 돈으로 20주를 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식을 매도하던 세력들이 다시 주식을 매수(숏커버링)하다 보니, 다시 주식 시장의 흐름이 상승장으로 이어져서 1주에 5천 원 하던 주식은 다시 1주에 1만 원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공매도 세력들은 손을 털고 나오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자기 돈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수중에 엄청난 양의 돈을 만들게 되는 것이죠.